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71

'매우'의 '매'가 수천 년 전에 바다(海)를 뜻했다 바다 해(海)의 뿌리 현재의 바다는 마지막 빙하기가 끝난 이후 빙하가 녹아 만들어진 것이다. 구석기 인류는 주로 강가에 자리를 잡아 생활했다. 그 강줄기가 흘러 들어가는 곳은 바다이며, 바다는 그들에게 미지의 세계였다. 신석기 시대로 접어들면서 배를 만들어 근해 또는 먼 곳을 항해하는 시대가 열렸다. 우리나라 경남 창녕 비봉리에서 8천 년 전 신석기시대 배가 출토되었는데 길이가 4m 이상이었다고 추정하고 있다. 4m가 넘었다면, 근해뿐만 아니라 좀더 먼 거리도 항해가 가능하다. 앞 글에서 설명했듯이 고래를 최초로 잡았던 우리 선조들이 동해 그리고 서해, 남해를 이어 동남아 지역으로도 항해를 했다고 판단된다. 한편 8천 년 전의 배가 중국 항주에서 출토되었고, 창녕과 동일한 시기의 배다. 중국은 박물관을 .. 2023. 11. 16.
영어 단어 Time 과 한자 시(時)의 어원이 같다. 1. 시간은 흐르지 않는다 앞장에서 시(時)의 갑골문자 기원에 대해 설명하면서 시(時)는 우리말 '떼다'의 어근 '떼'와 연관된다는 것을 밝혔다. 비록 갑골문자의 표현은 땅에서 떼어 낸 '풀이난 식물의 '떼'를 빗대었지만, 주된 목적은 시간 '때'의 소리를 나타내기 위함이었다. 수천 년 전에 이미 우리 선조들은 시간의 '때' 소리를 나타내기 위해 '떼다'의 '떼'로 상형문자를 만들었다. 시간의 '때'가 이미 쓰이던 소리였지만, 상형화 하기가 난해했기에 대신 '떼'로 표현한 것으로 생각된다. 현재 時의 소리는 '시'지만, 갑골문자가 태동하던 시기에는 '떼(때)'였다. 이런 이유로 한국어가 한자(漢子)의 기원이라 했던 것이다. 우리가 현재 쓰고 있는 '때'가 수천 년 된 소리라는 것을 알 수 있는 증거이기도.. 2023. 11. 15.
'때'가 시(時)의 3천6백 년 전의 소리다. 1. 시간을 떼다 우주는 빅뱅으로 탄생하여 시간은 빅뱅 이후 시작된다. 시간뿐만 아니라 우리가 사는 이 공간도 빅뱅 이후 생겨났다. 시공간이 한 점에서 태어난 것이며, 이를 부정하지 않는다. 지금까지 진보된 현대 과학이 밝혀낸 위대한 업적이기도 하다. 여전히 의문을 가지고 다른 관점에서 연구하는 과학자도 있지만, 대체적으로 우리는 빅뱅을 인정한다. 시간의 흐름, 무한한 공간으로 이뤄진 어두운 우주, 그 우주 속에 빛나는 별들은 과학을 넘어 인류의 지혜와 감성과 결합하여 문학의 소재로 이어진다. 그만큼 우리는 시간, 공간에 익숙하다. 시간을 거슬러 올라 고대인들은 우리만큼 시간과 공간에 익숙했을까? 수천 년 전 고대 인류에게 공간은 이동과 연결되었다. 그럼 시간은 무엇과 연결되었을까? 시간은 하늘에 떠 있.. 2023. 11. 14.
한자 고래 경(京)의 뿌리 1. 한자 고래 경京의 갑골문자 한자에서는 고래를 뜻하는 문자는 鯨이고, 소리는 ‘경’이다. 보통 한자를 외울 때 ‘하늘 천 따 지’ 하듯이 고래 경鯨자로 우리는 알고 있다. 두개로 나눠 보면 어魚 와 경京이다. 魚는 물고기를 뜻하고 京의 뜻은 ‘서울, 높다, 크다, 언덕, 고래, 가지런하다’ 등등이다. 鯨자가 고래를 뜻하는데, 京도 고래를 뜻한다. 그런데 京은 왜 하나의 글자에 많은 뜻이 들어가 있을까? 鯨자는 큰(京) 물고기(魚)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京은 왜 이렇게 뜻이 많을까? 그리고 고래하고 서울(수도)이 무슨 연관이 있는가? 이 질문의 답이 한자가 우리말에서 기원했다는 강력한 증거가 된다. 지금으로부터 3천6백년 전에 한자가 만들어지던 시기에 京의 원래 그림은 이것이었다. 갑골문자이며 큰.. 2023. 11. 13.
Whale의 6천 년 전 소리는 Kwalo였다. Whale의 6천 년 전 소리는 Kwalo였고, '고래'에서 나왔다. 바다에 사는 가장 큰 어류는 무엇일까? 순식간에 떠오르는 대답은 고래일 수 있다. 듣는 상대방도 이상하게 느끼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금방 답이 틀렸음을 알 수 있다. 왜냐하면 고래는 어류가 아니기 때문이다. 우리는 어류, 포유류, 파충류, 양서류 등등 동물들을 구분 짓는 기준을 배웠다. 반면 수 천년 전에 살던 사람들은 고래를 보고 포유류인지 어류인지 구분하지 않았다. 신석기인들의 암석에 새긴 그림을 보아도 따로 구분 지어 그림을 그리지 않았다. 아래의 울주 반구대 암각화를 보면 고래와 여러 가지 동물들의 모양, 사람 얼굴 등이 같이 새겨져 있다. 한편 옛날 사람들은 고래를 뭐라고 불렀을까? 사뭇 궁금해 질 수 있다. 혹시 설마 현재.. 2023. 11. 12.
East가 우리말 '어제, 엊그제'에서 나왔다면 믿을 수 있겠는가? East는 한국어 기반의 단어다. 동해라는 표현을 우리는 지도에서 보기를 원하지만, 억울하게도 대부문의 세계 지도에는 일본해로 표시되어 있다. 안타까운 일이다. 과거로 시간을 돌려 보면, 인류 역사학적으로 동해일 수밖에 없는 사실이 있다. 서울대학교 신용하 교수는 본인과 몇몇 역사학자들이 공동 집필한 『왜 지금 고조선 문명인가』에서 “이미 수십 만 년 전부터 호모에렉투스 구석기인들이 해가 가장 먼저 솟아오르는 동방을 향해 오랜 기간 이동했으며, 고한반도와 연해주는 인류사적으로 고 인류의 최종 종착지라 하였다.” "그 뒤를 이어 아프리카를 떠난 호모사피엔스 무리가 각 지역으로 흩어질 때 유라시아 대륙 동남부 해안가(순다랜드)를 따라, 해가 솟는 동쪽을 바라보며 장구한 시간을 걸어 도착한 곳도 고한반도와 연.. 2023. 11. 11.
동녘 東(동)은 '자루'가 어원이다. 동녘 東(동)은 '자루'가 어원이다. 동이(東夷)족에서 동쪽을 뜻하는 東이다. 동서남북(東西南北)의 東이기도 하다. 해가 뜨는 방향이며, 해가 뜰 때 표현하는 ‘동트다’의 東이다. “동녘이 밝아 온다”는 오늘 하루 삶의 시작을 의미한다. 해가 지는 서쪽과는 의미하는 바가 좀 더 밝다. 참고로 영어 ‘go west’는 속어 형태로 ‘잃어버린, 죽다, 피해를 입다, 망치다’등으로 쓰인다. 이에 비해 東쪽은 해를 기반으로 우리에게 희망을 주는 문자라 할 수 있다. 우리가 아시아 대륙의 가장 동쪽 끝에서 희미한 희망을 붙잡고 거친 나라들과 힘든 시대를 살아가듯, 그리고 東夷족이라는 선조들의 기상을 조금이나마 마음에 새긴 채 고대의 화려한 기억을 되살리듯, 우리는 東을 벗어날 수 없다. 동해가 있듯이... 그렇다.. 2023. 11. 10.
Flat은 펼치다의 어근 '펼'에서 나왔다. Flat과 어원을 공유하는 단어는 30개가 넘는다 ‘평탄한, 납작한, 김빠진김 빠진,편평한’ 등을 뜻하는 형용사다. 물론 동사도 있고 명사도 있다. 그러나 대부문의 사람들은 ‘평평한’의 뜻으로 기억한다. “Tire is flat”이라고 말한다면, “자동차 타이어가 펑크 났다.”의 뜻이다. 앞에 설명한 ‘김빠진, 평탄한’과 연결된다. 이 영어 단어와 뿌리를 공유하는 단어 수만 30개가 넘는다. flat의 최종 뿌리를 알아보기 전에 살펴볼 것이 있는데, 그리스어, 라틴어다. etymonline에 가서 찾아보면 하기와 같이 많은 단어들이 나온다. 이 단어들은 그리스어, 라틴어와도 연관된다. flat, flatter, flounder, implant, piazza, place, plane, plant, plan.. 2023. 11.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