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구름2

Cloud 어원은 우리말 '감추다'의 어근 '감'이다. 6천 년 전 영어의 기원인 인도유럽어가 형성되던 때는 신석기시대였다. 그시대 사람들은 하늘에 존재하거나, 하늘에서 만들어지는 모든 것들을 신비롭게 바라보았다. 그중에 구름은 특이한 존재였다. 해가 떠있을 때도 유유자적 하늘을 거닐고, 비가 내리는 어두운 하늘에도 자기 자리를 지키고 있었기 때문이다. 단지 다른 것은 구름의 색과 하늘에서 물이 떨어진 것뿐이었다. 구름은 지구 대기가 형성되면서 만들어졌다. 당연히 인류보다 더 오래전에 생겨나 같이 공존하고 있다. 인류는 인지력이 생겨나기 시작하면서 생각의 체계가 잡히기 시작했고 자연을 바라보는 시각도 새로와졌다. 인지력이 폭발하던 시기인 신석기시대를 살았던 사람들에게 과연 구름은 어떠한 대상이었을까? 또한 현대인이 바라보는 구름과 같았을까? 추측건대 신석기인.. 2023. 12. 5.
'구름'과 '가로다'(가로되)가 말뿌리가 같다 1. '구름'과 '가르다'가 뿌리가 같은 이유 구름을 뜻하는 한자는 두 개가 있다. 운(雲)과 운(云)이다. 云의 다른 뜻은 ‘말하다’가 있다. 그런데 왜 ‘말하다’를 뜻하는 云이 구름을 뜻하는 것일까? 云에 雨가 결합되어 雲이 구름을 뜻하는데, 云 자체도 구름을 뜻한다. "운(云)을 띄우다"는 ‘무엇을 말하다’라는 뜻인데, 왜 구름일까? 원래 갑골문자가 만들어진 시기에는 云의 뜻은 구름이었다. 쉽게 마음에 와닿지 않겠지만, 그 당시 云의 소리도 '구름'(gureum)과 가까운 소리였다. 이 글자는 시간이 지나 후대에 이르러 ‘말하다, 이르다’로 뜻이 전이된다. 이유는 구름이라는 소리와 '말하다'를 일컫는 소리가 비슷하여 벌어진 일이라고 한다. 이 설명이 도무지 이해가 되지 않으리라 생각된다. 구름과 비.. 2023. 12. 2.
반응형